- 국내 기업 73% “신외감법 시행으로 회계투명성 개선”…자산규모 큰 기업일수록 신외감법 도입효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
- 신외감법 정책 중 ‘내부회계관리제도’ 회계투명성 개선 기여도 1위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도입 유예 기간을 회계투명성 제고를 위한 준비기간으로 활용해야
2023년 7월 26일, 서울 - 국내 기업의 회계, 재무, 감사 담당자 4명 중 3명은 신(新)외부감사법 시행이 회계투명성 개선에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회계∙컨설팅 법인 EY한영(대표 박용근)은 지난 6월 국내 기업의 기업 회계·재무·감사 부서 임직원 총 70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3 EY한영 회계감사의 미래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 표준감사시간제,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 등을 골자로 하는 신외감법이 도입된지 5년이 경과한 가운데, 설문에 참여한 응답자의 73%는 신외감법 시행 이후 기업의 회계투명성이 개선되었다고 응답했다. 특히 자산규모 2조원 이상 기업 응답자 중 회계투명성이 개선되었다고 답한 비율이 평균 응답률보다 높게 나와 자산규모가 큰 기업일수록 신외감법 도입 효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의 감사실 소속 응답자들의 대다수인 82%가 신외감법을 통해 회계투명성이 제고되었다고 밝혔다.
신외감법 정책 중 회계투명성 개선에 가장 기여한 정책을 묻는 질문에는 ‘내부회계관리제도에 대한 외부감사’를 1순위로 뽑은 응답이 34%로 가장 높았다. 이어서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 ▲분식회계 처벌 강화, ▲표준감사시간, ▲감독기관의 감독 방식 강화 순으로 집계됐다.
기업인들은 전반적으로 신외감법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책의 세부 내용이나 방향에 대해서는 기업의 자산 규모나 직급 또는 소속 부서 등에 따라 의견이 달랐다. 설문에서 신외감법의 적용과 향후 방향에 대해서는 정책에 따라서 ‘강화’, ‘유지’ 또는 ‘완화∙폐지’ 의견으로 나뉘었다.